목록Git (2)
히콩쓰 개발 일지

commit 메시지를 수정한다고 -amend 를 사용하였다. 이후 local HEAD와 origin HEAD의 위치가 달라졌고, git log를 보니 아래와 같았다. 같은 commit을 가리키게 하기 위해 구글링을 하면서 해시 값도 복사해서 넣어보고 하다보니, 저렇게 꼬인 것 같았다. origin HEAD는 보라색이 끝난 지점을 가리키고 있었는데, force push를 하지 말라는 얘기가 많아서 고민하고 있었다. 와중에 노란색(HEAD)와 초록색(main) 두 개가 있는 것이 이상하다고 생각했고, git branch 명령어를 통해 위치를 확인했다. 여러 방법을 원인도 모른체 혼용하다보니, main branch가 아닌 다른 커밋 자체를 가리키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. 이 프로젝트는 나 혼자 진행하는 프로젝트..

.gitignore 란? git을 이용하면서 많이 볼 수밖에 없는 파일인 .gitignore 은 쉽게 말해서 "git 버전 관리에 사용하지 않을 파일, 즉 git에 올리고 싶지 않은 파일을 정의하는 파일" 이다. [ .gitignore 작성 목적 ] git을 이용해 협업을 진행하다보면 개인의 운영체제나 IDE 버전 등과 같은 부분이 달라 충돌이 일어나기도 한다. 이 때, gitignore을 사용하여 git에서 관리할 파일을 제거하고 git에 push하는 방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. [ .gitignore 작성 방법 ] 가장 쉬운 방법은 자동 완성 사이트 "gitignore.io" 를 이용하는 것이다. (아래 이미지를 클릭해서 gitignore.io로 이동할 수 있다) .gitignore 파일은 ..